물리지구과학부 콜로퀴움
목적
-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롤모델을 제시하고, 미래에 대한 꿈과 열정, 도전정신을 고취
내용
- 물리학·지구과학 분야의 이슈와 다양한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기대효과
- 과학계의 이슈 및 다양한 연구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물리학‧지구과학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 증대
-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롤모델 제시를 통해 진로 및 학문 연구에 대한 올바른 자세와 자질 함양
역대개최내역
개최년도 |
일자 |
주제 |
연사(소속) |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 유지를 위해 미운영 | |||
2019년 |
9월 20일 |
우리나라 우주과학 역사 30년 |
민경욱 교수 (KAIST 물리학과) |
4월 5일 | 물리학, 고대 그리스에서 현재까지 | 정윤희 교수 (POSTECH 물리학과) | |
2018년 |
11월 30일 |
새로운 물질 디자인 (Design of New Materials) |
장기주 교수 (KAIST 물리학과) |
12월 5일 |
살아있는 것들의 물리학 |
박지현 박사 (고등과학원) |
|
2017년 |
9월 22일 |
스핀트로닉스에 관한 몇 가지 발견에 대하여 |
김갑진 교수 (KAIST 물리학과) |
5월 12일 |
세계의 끝을 보는 법 |
이강영 교수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
|
3월 24일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 김상욱 교수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 |
2016년 | 11월 18일 | 중력파 특별강연/ 중력파 – 100년을 기다린 시공간의 속삭임 | 강궁원 박사(KIST & KAIST) |
KAIST 세미나
목적
- 물리학세미나 및 지구과학세미나 과목을 KAIST 교수 직강으로 편성·운영
- 물리학·지구과학 관련 첨단연구를 소개하고, KAIST 교수와 과학영재의 소통의 장 마련
내용
- 물리학세미나(1학기), 지구과학세미나(2학기) 개설‧운영
- 다양한 분야의 첨단연구 소개 및 전문가와의 대담
기대효과
- 학생들의 진로 설계 및 과학자로서의 소양 함양에 기여
KAIST 연계 과목의 개설 학기 및 참여 교수 인원수
연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과목 / 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물리 |
물리학세미나 |
|
|
4 |
|
6 |
|
8 |
|
|
|
지구과학 |
지구과학특강 |
|
4 |
4 |
|
|
4 |
|
|
3 |
|
지구과학세미나 |
|
|
|
7 |
8 |
|
6 |
|
|
|
노벨상 포스터 발표대회
목적
-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롤모델을 제시하고, 미래에 대한 꿈과 열정, 도전정신을 고취
내용
- 물리학·화학·생리의학 분야의 이슈와 다양한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노벨과학상 해설강연회를 통해 수상자가 과학자로서 걸어온 길, 노벨상 수상자가 만들어낸 업적의 내용과 가치를 소개
기대효과
- 과학계의 이슈 및 다양한 연구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물리학‧지구과학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 증대
-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롤모델 제시를 통해 진로 및 학문 연구에 대한 올바른 자세와 자질 함양
역대개최내역
개최년도 |
일자 |
주제 |
연사(소속) |
2020년 (신규) | |||
2018년 | 11월 16일 | 노벨물리학상/화학상/생리의학상 소개 | KSA 교원 |
2017년 | 11월 17일 | 노벨물리학상/화학상/생리의학상 소개 | KSA 교원 |
2016년 | 11월 11일 | 노벨물리학상/화학상/생리의학상 소개 | KSA 교원 |
국제공동연구
목적
- 국제공동연구 추진을 통해 국제적 리더십 및 공동연구 능력 함양
내용
- 싱가포르 NJC, NUSHS 학생들과의 국제공동연구 수행
- 일본 쿠마모토대, Ritsumeikan 학생들과의 국제공동연구 수행
기대효과
-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학생의 연구능력 향상 및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 도모
- 국외 기관과의 연구 경험을 통해 국제협력 연구에 대한 이해 증대
- 글로벌 연구자로서의 자질 함양 및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연구내역
연도 |
교류기관 |
주제 |
담당교원 |
2020 |
일본 Ritsumeikan |
Analysis on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during solar eclipse and spectroscopic examination of permeability according to atmospheric conditions |
송인옥 |
태국 MWIT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ead-free K1-xNaxNbO3 Piezoelectric Ceramics |
전병억 | |
싱가포르 NUSHS |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According to the Trajectories of Fine Dust |
최현정 | |
2019 | 일본 Ritsumeikan | Stellar spectroscopic study of astronomical airmass of Kyoto and Busan in Season | 송인옥 |
2018 | 일본 Ritsumeikan | Spectroscopic study for night sky of Kyoto and Busan | 송인옥 |
2017 |
싱가포르 NJC |
Sonochemistry: Enhancement of Oxidation Reaction of 2-deoxyribose by High Intensity Ultrasound |
김영환 |
싱가포르 NUSHS |
Investigation of sound produced by magnetic balls |
||
일본 구마모토대학교 |
PZT-PZT 복합재로 제작된 선집속 대구경 초음파 탐촉자의 평가 |
||
일본 Ritsumeikan |
Spectroscopic study for night sky of Kyoto and Busan |
송인옥 | |
2016 |
싱가포르 NJC |
Sono-chemistry: Enhancement of Water Purification by High Intensity Ultrasound |
김영환 |
일본 구마모토대학교 |
Evaluation of a line-focusing large-aperture transducer made of PZT-PZT composite |
||
싱가포르 NUSHS |
Investigation of sou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
송인옥
|
|
일본 Ritsumeikan |
Spectroscopic study for night sky of Kyoto and Busan |
||
2015 |
싱가포르 NJC |
High intensity ultrasound for the enhancement of water purification | 김영환 |
일본 구마모토대학교 |
Evaluation of a line-focusing large-aperture transducer made of PZT-PZT composite |
![]() |
![]() |
![]() |
---|---|---|
2017 국제공동연구 KSA 방문연구 | 2018 국제공동연구 KSA 방문연구 | 2019 JSSF 국제공동연구팀 발표 |
KSA 천문대 공개관측행사
목적
- KSA 봄/가을 축제(SAF/SAC) 동안 선도적 과학영재학교로서 과학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천체관측을 체험할 수 있는 과학체험의 장을 제공, 천문‧우주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
운영방침
- KSA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 및 온라인 사전신청
- KSA 별빛따라 도우미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운영
역대개최내역
개최년도 |
일자 |
운영 프로그램 |
비고 |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 유지를 위해 미운영 | |||
2019년 |
11월 9일 |
SAC 공개관측행사 - 천체관측/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 야간운영 |
5월 11일 |
SAF 공개관측행사 - 천체관측프로그램1 : 태양관측/ 플라네타리움 체험 - 천체관측프로그램2 : 천체관측/ 플라네타리움 체험/ 영상관람 |
주/야간 운영 | |
2018년 |
11월 9일 |
SAC 공개관측행사 - 정규프로그램 : 천체관측/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 천문체험부스 : 플라네타리움 체험 |
주/야간 운영 |
5월 12일 |
SAF 공개관측행사 - 정규프로그램 : 플라네타리움/ 영상관람/ 천문대견학 - 천문체험부스 : 플라네타리움 체험 (우천취소) |
기상악화로 야외관측취소 | |
2017년 | 11월 11일 |
SAC 공개관측행사 - 정규프로그램 : 천체관측/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 천문체험부스 : 플라네타리움 체험 |
주/야간 운영 |
5월 8일 | SAF 공개관측행사 -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천문대견학 | 기상악화로 야외관측취소 | |
2016년 | 10월 29일 | SAC 공개관측행사 - 천체관측/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 야간관측 |
5월 23일 | SAF 공개관측행사 - 천체관측/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 야간관측 | |
2015년 | 11월 7일 | SAC 공개관측행사 - 태양관측/ 영상관람/ 천문대견학 | 주간관측 |
4월 30일 | SAF 공개관측행사 - 천체관측/ 별자리설명/ 영상관람 | 야간관측 |
국가사업 유성체 감시 네트워크
클릭 : 한국과학영재학교 유성관측소 바로가기 (교내용)
목적
- 국가사업에 기여
- 학생 연구 역량 확대를 통한 학생 창의성 강화
- 기여봉사를 통한 과학문화 확산
- 영재교육을 위한 과학네트워크 강화 (협력을 통한 조직적 기술 및 리더십 능력 함양)
내용
- 설치주관: 한국천문연구원
- 장소: 한국과학영재학교 포함 5개 과학영재학교
유성체감시 네트워크 구축 배경 및 필요성
- 자연우주물체에 의한 위험 및 소행성 및 운석 추락의 가능성
- 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의 수립(국가 우주개발진흥법) 및 이에 근거한 유성체감시 네트워크 구축
- 한국천문연구원이 국가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지정되어 관측 시스템 개발을 마쳤으며 이를 전국에 설치하여 테스트 및 확장하여 운영하고자 전국 주요 과학영재학교에 협력을 요청함
KSA의 유성체감시 네트워크 배경
-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유성모니터링 전파 및 영상관측 시스템 구축 개발중
· 2015 R&E, “라디오 전파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한국과학영재학교 송인옥, 한국천문연구원 안상현 박사, 강용우 지도, 이상현 박사 지도)
· 2016 졸업 개인 연구, “라디오 전파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및 개발” (한국과학영재학교 송인옥, 한국천문연구원 안상현 박사, 강용우 박사, 이상현 박사 지도)
· 2017 R&E, 졸업 개인 연구, “라디오 및 CCTV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및 실험 성공” (한국천문연구원, Tobias Hinse 박사 지도)
기대효과
- 시민과학으로 키울 수 있는 주제로, 망원경을 이용하여 천체를 보는 단계를 거쳐 직접 과학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기기멘토제
목적
- 선후배·동료 간 기기 사사시스템 운영
- 첨단기기 숙지 및 학생 상호 기기 멘토링을 통해 연구 전문성 증대
- 첨단기기의 사용을 통해 탐구·연구 역량 강화
내용
- 대상 : 물리지구과학부 R&E 및 졸업연구 수행 학생 등
- 지도교원에 의한 기기교육 실시 후 기기 마스터 승인
- 기기 마스터는 기기 멘토링, 기기 관리 등의 활동 수행
기대효과
- 학생들의 첨단기기에 대한 이해와 활용 증대
- 학생 간 상호 교육 활성화를 통한 학생 협력 증진
- 첨단기기의 오용 및 남용 방지 및 첨단기기의 관리 강화
Maker 문화 확산
목적
- 창의공학적 접근과 Maker 문화 확산을 위한 창의공작실 및 DDC 활용 지원
- 학생들이 자신의 실험을 설계하고, 필요한 재료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학생들이 구안한 발명 및 공학 아이디어를 실제 구현・제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내용
- 창의설계활동 등 연구·탐구활동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디자인·제작
- 에너지 및 환경 연구프로젝트 관련 연구 산출물 설계·제작
- 탐구수업과 연계하여 창의공작실 및 DDC 활용
-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 및 시제품 설계(모델링), 제작 등 아이디어 구현
기대효과
- 공학적 적성과 소질을 가진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DDC 활용도 제고
에너지 및 환경 연구프로젝트
목적
- 학생 주도의 창의적·지속적 연구프로젝트의 발굴·지원
- Zayed Future Energy Prize 프로젝트와 연계한 신재생에너지 및 환경 연구의 지속적 추진을 통해 차별화·특화된 연구 프로그램으로의 발전 도모
- 신재생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학생 주도의 창의적․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해결 방안 모색 및 관련 연구 역량 제고
내용
- KSA 에너지 소비 실태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조사·연구
- 에너지 생산 및 절감 방안 연구
- 미세먼지, 물 환경 조사 및 적정기술 개발 연구
기대효과
- 학생 주도의 창의적, 지속적 연구과제의 발굴·지원을 통해 연구역량 및 도전정신 제고
- 에너지 및 환경 관련 연구역량의 제고, 전문 연구자로의 성장 발판을 마련
- KSA 구성원의 에너지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의 고취 및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에 동참하려는 노력 유발
- 친환경적인 가치관과 태도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비하는 인재의 육성
47162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관문로 105-47 한국과학영재학교 탐구관 2401호 물리지구과학부사무실
Tel. 051-606-2243, 2214 / Fax.051-606-2376
Copyright (C) 2017 Department of Physics & Earth Science of KOREA SCIENCE ACADEMY.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P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