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교육과정>교과목소개

   필수교과

  

물리학 및 실험 (PE1101)

 

물리학의 핵심 개념인 운동량과 에너지를 역학적인 관점에서 다루는 과목으로서 가장 역사가 오래되고 응용 분야가 넓은 고전 물리학의 기초 개념을 익히는 필수 교과이다.

물리학 및 실험(PE1102)

 

파동 현상, , 전자기 현상, 그리고 현대 과학 문명과 직접 관련성이 있는 근대 및 현대 물리학의 주요 개념에 대해서 심도 깊게 다루는 필수 교과이다.

 

   선택교과

 

탐구물리 (PE2101)

 

탐구물리는 필수교과목인 물리학1,2에서 학습한 물리 내용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기반으로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중심의 탐구과정을 통해 물리학습이 이루어진다. 탐구물리는 탐구, 실험, 토의, 발표 등을 통한 체험 중심의 물리 교과로 물리학을 집중 이수할 학생들에게 권장하는 교과목이다.

기초물리학 (PE2102)

 

뉴턴의 고전역학, 물질의 성질과 열, 전기와 자기, 파동과 광학, 원자 및 핵, 상대론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개요과목이다. 수학을 최소화하고 물리 개념중심의 학습 또는 물리를 집중적으로 이수하지 않을 학생들을 위한 교과목으로 물리학의 기초 개념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일반물리학1 (PE3101)

 

고전역학과 열 물리학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일반선택(AP) 과목이며, 물리학 기본 개념에 대한 정량적 정의를 익히고, 그것들을 보다 큰 범위에서 구조화하는 과정을 통해 19세기 이전 정립된 물리현상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을 다룬다. 이공계 분야를 전공하려고 하는 학생이 학부 수준에서 접하는 미적분학 정도의 수학적 소양을 갖춘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물리학실험1 (PE3102)

 

고전역학 및 열 물리학에 관련된 역사적으로 되짚어 볼 필요가 있는 실험을 직접 수행하여 19세기 이전 근대물리학의 역사적인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개념적 변화를 짚어보고 스스로 물리학 기본 개념의 형성과정을 체득하는데 중점을 둔 일반선택(AP) 과목이다.

일반물리학2 (PE3103)

 

전자기학 및 광학, 현대물리학 (상대성 이론, 양자물리학)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일반선택(AP) 과목이며, 20세기 이후 발전하고 있는 물리현상에 대한 미시적인 관점을 다룬다. 이공계 분야를 전공하려는 학생이 학부 수준에서 접하는 기하학, 미적분학, 해석학 정도의 수학적 소양을 갖춘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물리학실험2 (PE3104)

 

전자기학 및 광학, 현대물리학에 관련된 역사적으로 되짚어 볼 필요가 있는 실험을 직접 수행하여 20세기 이후 현대물리학의 역사적인 발전과정에서 물리학 개념의 중요한 변화를 짚어보고 스스로 현대 물리학 기본 개념의 형성과정을 체득하는데 중점을 둔 일반선택(AP) 과목이다.

현대물리학개론 (PE4101)

 

현대 물리학의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상대론과 양자역학의 기본 내용을 이해하고 그 응용을 강의한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빛에 대한 양자적 이해, 수소원자의 에너지 구조, 원자 물리학, 핵물리학, 소립자 물리학 등이 주요 내용이다.

물리학세미나 (PE4102)

 

물리학 분야와 학습방법 중에서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하는 다양한 주제와 방법들을 선택하여 주제 중심 학습, 논문 읽기, 주제 발표 등을 통해 연구해 봄으로써 기본 교과목에서 다루기 힘든 분야들을 다양하게 탐구할 수 있다.

물리학특강 (PE5101~)

 

일반물리학을 이수한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의 물리학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기초역학, 기초전자기학, 레이저의 이해와 응용, 열 및 통계 물리학기초, 전자회로의 이해와 응용 등의 심화된 물리학 주제들이 다양하게 개설된다. 과목명은 물리학 특강(부제)”[. 물리학 특강(역학)] 형태로 제시된다. 물리학 특강은 과학영재들의 물리학 분야에 대한 흥미와 지적 성취를 위하여 개설하는 교과목으로 깊이 있는 개념 이해와 심화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물리학 주제들을 다양한 수준에서 개설할 수 있다.

   선택과목

 

천체관측의 기초 (PE2201)

 

본 교과목은 우주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하고, 기본적인 천문관측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천체관측에 필요한 기본 개념을 익히고,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천체관측에 필요한 기본 개념으로 천구좌표계 및 시간, 망원경의 원리, 측광 원리, 분광기의 원리 등을 학습한다.

지구환경과학 (PE2202)

 

지구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지구의 자원, 자연재해, 환경오염 및 범지구적인 지구환경 변화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이러한 지구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구 탄생 이후 지구환경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밝히고, 이로부터 미래의 환경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범지구적인 기후 변화 예측 및 지구의 미래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반천문학 (PE3201)

 

우리가 속해 있는 우주의 크기와 규모를 살펴보고, 태양계, 별과 성간물질, 은하, 그리고 우주의 생성과 진화를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천문학자들이 어떤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을 어떻게 분석하는지를 다루게 된다. 본 교과목은 대학교 1학년 수준의 기초 천문학으로서 고등학교 수준의 수학과 물리학의 지식을 갖추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

일반천문학실험 (PE3202)

 

본 교과목에서는 육안이나 소형 망원경을 이용하여 간단한 관측을 직접 수행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인터넷에 올려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관측 자료의 기본 처리 기법을 학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천체의 거리 및 물리, 화학적 성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일반지구과학 (PE3203)

 

지구 전체를 상호작용하는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구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며, 이를 지구시스템 과학이라 한다. 본 교과목은 지구시스템을 배우는 학생들을 위한 입문교과로서 기권, 수권, 생물권 그리고 고체 지구 등 네 개의 저장소를 소개하고, 각 저장소들 사이의 물질 및 에너지 교환에 대해 다룬다.

일반지구과학실험 (PE3204)

 

지구과학의 연구대상은 고체 지구뿐만 아니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해양, 대기, 우주 등 다양하고 공간적으로 광범위하다. 본 교과목에서는 일반지구과학 교과내용의 주요 주제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관찰, 조사, 자료처리 등의 과정을 수행하고 탐구한다.

날씨와기후 (PE4201)

대기과학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대기 내의 에너지나 이의 수지 및 불균형에 의해 나타나는 대기운동 현상에 대해 소개하고,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배양하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오존층 파괴나 ENSO, 기후변화 등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여 대기과학 분야의 첨단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우주과학및실습 (PE4202)

우주과학이란 우주 탐사체에 의해 현지 측정이나 근접 관측이 가능한 태양계 내의 우주공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우주 플라즈마, 태양활동, 행성간 공간에서의 태양풍의 전파, 지구 자기권 및 이온층의 구조와 이들의 태양풍과의 상호작용 등 우주환경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그리고 실제 위성 및 지상 관측 자료의 분석, 위성 및 과학 탑재체 실습 등의 프로젝트 중심의 실험실습을 통해 우주환경에 대한 탐구 능력을 함양한다.

별과 우주(PE4203)

천문학은 소립자에서 가장 커다란 구조인 우주를 다루며, 시간의 시작부터 끝을 다루는 가장 극단적인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천체역학과 태양계, , 은하, 그리고 우주의 생성과 진화 등에 대한 현대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의 기본 내용과 지식을 학습한다.

지구과학세미나 (PE4204)

지구과학 분야 중에서 학생들이 관심 있어 하는 다양한 주제들을 선택하여 논문 연구, 주제 발표 등을 통해 연구해 봄으로써 기본 교과목에서 다루기 힘든 전문 분야들을 심도 있게 탐구해 본다.

지구과학특강 (PE5201~)

 

지구과학은 우주를 포함하여 우리가 사는 지구와 관련된 자연 현상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분석, 규명하는 학문으로서 그 연구의 대상이 시공간적으로 매우 광범위하다. 지구과학 특강(3)에서는 지구과학 분야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관측천문학, 지질학, 해양학 등의 심화된 주제들이 다양하게 개설된다. 과목명은 지구과학 특강(부제)”[, 지구과학 특강(관측천문학)] 형태로 제시된다. 지구과학 특강은 과학영재들의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흥미와 지적 성취를 위하여 개설하는 교과목으로 깊이 있는 개념 이해와 심화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지구과학 주제들을 다양한 수준에서 개설할 수 있다.

   융합교과

 

예술속의물리 (PE6101)

예술속의 물리는 예술의 두 축인 미술과 음악을 빛과 소리라는 물리 현상을 통하여 이해하고 나아가서 이들 예술분야를 직접 다루는 능력을 기르는 과목이다.

역사속의물리학 (PE6102)

일반물리학1 을 이수한 학생들이 물리학 이론과 실험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물리학사 및 연구 윤리와 관련된 여러 다양한 주제들을 주제 중심의 구체적 학습과 실험수행을 통하여 물리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를 통해 물리 법칙과 주요 논쟁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며 물리적 직관과 통찰을 기를 수 있다.

 

도시계획과환경 (PE6201)

 

환경문제의 발생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욕심과 이기심에서 출발하고 있다. 주어진 삶 속에서 좀 더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면 인간은 자연에 대해 자연스럽게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우리는 환경문제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구체적이고 실천하는 경우가 매우 적다. 본 수업을 통해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자연스럽게 자연과 공존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교과목 목표는 도시계획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습득하며, 다양한 도시규모의 환경모델을 이용하여 도시계획에 따른 환경의 변화를 이해한다.

 

우주생물학 (PE6202)

 

이 교과목은 천문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철학의 계간 학문으로 융합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교과에서 융합의 목적은 기초 과학지식을 다른 분야에 적용하면서 기본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구 생명체가 있는 지구는 태양계의 일원이다. 성간물질에서의 태양계의 발생 및 진화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지구는 분자와 먼지티끌로 이루어진 성간물질에서 생성되었는데, 이 부분에서는 화학에서 익힌 과학지식을 적용한다. 화학적 물질에서 생물이 탄생하게 되는 과정에서는 원시 지구 생명체의 특징으로부터 파악하며, 이 부분은 생물학적인 측면으로 접근하게 된다. 또한, 태양계 천체에서 지구 외의 다른 행성이나 위성의 대기를 포함한 환경적인 측면을 다룰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우주생물학 학문의 의미, 생명의 의미와 정의에 대해서 학생들은 고민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교육과정

47162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관문로 105-47 한국과학영재학교 탐구관 2401호 물리지구과학부사무실

Tel. 051-606-2243, 2214 / Fax.051-606-2376

Copyright (C) 2017 Department of Physics & Earth Science of KOREA SCIENCE ACADEMY.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P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