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FEP (Zyed Future Energy Prize) 프로젝트
목적
- 신재생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학생 주도의 창의적·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해결 방안 모색 및 관련 연구 역량 제고
- 전 세계적인 문제인 대체에너지 개발과 환경에 대한 KSA 구성원의 관심 유발 및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에 동참, 환경 친화적인
가치관과 태도의 배양 및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행동할 수 있는 환경 소양인의 양성
프로젝트 명칭
: DIY (Do It Yourself) Green Campus Project
후원
: Zayed Future Energy Prize - 2016 Zayed Future Energy Prize에서 아시아 최종 우승팀으로 선정되어 상금 $100,000(한화 약 1억원)를 받아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함.
프로젝트 개요
- 추진기간 : 2016. 03. 20. ~ 2017. 05. 31.
- 추진목표 : 환경보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 및 KSA 전체 소비전력의 10% 감축
- 주요 프로젝트
|
1) 대기전력 감소 방안 및 신재생에너지 연구 - KSA 대기전력 실태 조사 및 대기전력 차단 장치 보급․설치 - 태양광 패널 효율성, 풍력발전기의 제작 및 효율성 관련 연구 |
|
2) 고효율의 태양전지와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재생가능 에너지 생산시스템 구축 - 태양광 패널(10kWh) 설치로 월평균 850kWh의 전력 생산 -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가로등 설치 |
|
3) 열에너지 수송을 차단하는 ‘옥상 정원(Green Roof)’조성 - 냉․난방 에너지 소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 및 휴식 공간 제공 |
|
4) 신재생에너지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개발・운영 - 과학체험교실 내 신재생에너지 체험코너(Green Energy Zone) 설치 및 운영 - 2016 KSA 과학축전에서 신재생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 연구프로젝트 웹사이트 및 페이스북 페이지 개발・운영 등 |
추진성과
- 자이드 미래에너지상 고등학교 부문 최초로 우수 연구사례로 선정
언론보도자료
|
2016년 1월 18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개최된 세계 미래에너지 회의의 ‘2016 자이드 미래에너지상(Zayed Future Energy Prize) 시상식’에서 고등학교 부문 아시아 최고상 수상 · ‘자이드 미래에너지상’은 재생, 지속가능 에너지 분야 발전에 기여한 기업이나 기관을 시상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상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비영리기관, 개인, 고등학교 등 5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며 총 상금이 400만 달러에 달함. 이중 고등학교 부문은 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5개 대륙별로 각 1팀씩 총 5팀을 시상함. · 2016년 전 세계 97개국 1,437개 계획서 중에서 14팀이 결선에 진출해 아시아 지역은 최종 KSA가 수상했음. >>관련 기사 |
- KSA는 상금 10만 달러(한화 약 1억 1천만 원)로 지난 1년여 동안 자이드 미래에너지 연구프로젝트 ‘DIY Green Campus Project’를 추진함. - 2017. 1. 16. ‘2017 자이드 미래에너지상 시상식’에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으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자이드 미래에너지상 고등학교 부문에서는 최초로 우수 연구사례로 선정되어 전 세계에 소개될 예정임. >>관련 기사 |
Maker 문화 확산
목적
- 창의공학적 접근과 Maker 문화 확산을 위한 창의공작실 및 DDC 활용 지원
- 학생들이 자신의 실험을 설계하고, 필요한 재료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학생들이 구안한 발명 및 공학 아이디어를 실제 구현・제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내용
- 창의설계활동 등 연구·탐구활동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디자인·제작
- 에너지 및 환경 연구프로젝트 관련 연구 산출물 설계·제작
- 탐구수업과 연계하여 창의공작실 및 DDC 활용
-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 및 시제품 설계(모델링), 제작 등 아이디어 구현
기대효과
- 공학적 적성과 소질을 가진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DDC 활용도 제고
에너지 및 환경 연구프로젝트
목적
- 학생 주도의 창의적·지속적 연구프로젝트의 발굴·지원
- Zayed Future Energy Prize 프로젝트와 연계한 신재생에너지 및 환경 연구의 지속적 추진을 통해 차별화·특화된 연구 프로그램으로의 발전 도모
- 신재생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학생 주도의 창의적․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해결 방안 모색 및 관련 연구 역량 제고
내용
- KSA 에너지 소비 실태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조사·연구
- 에너지 생산 및 절감 방안 연구
- 미세먼지, 물 환경 조사 및 적정기술 개발 연구
기대효과
- 학생 주도의 창의적, 지속적 연구과제의 발굴·지원을 통해 연구역량 및 도전정신 제고
- 에너지 및 환경 관련 연구역량의 제고, 전문 연구자로의 성장 발판을 마련
- KSA 구성원의 에너지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과 경각심의 고취 및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에 동참하려는 노력 유발
- 친환경적인 가치관과 태도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비하는 인재의 육성
국제공동연구
목적
- 국제공동연구 추진을 통해 국제적 리더십 및 공동연구 능력 함양
내용
- 싱가포르 NJC, NUSHS 학생들과의 국제공동연구 수행
- 일본 쿠마모토대, Ritsumeikan 학생들과의 국제공동연구 수행
기대효과
-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학생의 연구능력 향상 및 연구결과의 질적 향상 도모
- 국외 기관과의 연구 경험을 통해 국제협력 연구에 대한 이해 증대
- 글로벌 연구자로서의 자질 함양 및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기기멘토제
목적
- 선후배·동료 간 기기 사사시스템 운영
- 첨단기기 숙지 및 학생 상호 기기 멘토링을 통해 연구 전문성 증대
- 첨단기기의 사용을 통해 탐구·연구 역량 강화
내용
- 대상 : 물리지구과학부 R&E 및 졸업연구 수행 학생 등
- 지도교원에 의한 기기교육 실시 후 기기 마스터 승인
- 기기 마스터는 기기 멘토링, 기기 관리 등의 활동 수행
기대효과
- 학생들의 첨단기기에 대한 이해와 활용 증대
- 학생 간 상호 교육 활성화를 통한 학생 협력 증진
- 첨단기기의 오용 및 남용 방지 및 첨단기기의 관리 강화
KAIST 세미나
목적
- 물리학세미나 및 지구과학세미나 과목을 KAIST 교수 직강으로 편성·운영
- 물리학·지구과학 관련 첨단연구를 소개하고, KAIST 교수와 과학영재의 소통의 장 마련
내용
- 물리학세미나(1학기), 지구과학세미나(2학기) 개설‧운영
- 다양한 분야의 첨단연구 소개 및 전문가와의 대담
기대효과
- 학생들의 진로 설계 및 과학자로서의 소양 함양에 기여
물리지구과학부 콜로퀴움
목적
-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롤모델을 제시하고, 미래에 대한 꿈과 열정, 도전정신을 고취
내용
- 물리학·지구과학 분야의 이슈와 다양한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노벨과학상 해설강연회를 통해 수상자가 과학자로서 걸어온 길, 노벨상 수상자가 만들어낸 업적의 내용과 가치를 소개
기대효과
- 과학계의 이슈 및 다양한 연구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물리학‧지구과학 학문 분야에 대한 관심 증대
-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롤모델 제시를 통해 진로 및 학문 연구에 대한 올바른 자세와 자질 함양